인간의 존엄사, 선천적vs후천적인가에 대한 토론!
자기 입장의 논증적 구성
인간의 생명은 소유권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인간의 생명은 물건처럼 사고 팔
거나 스스로 버릴수 있는 소유물이 아니다. 어느 누구도 스스로 태어나고싶다고 태어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마찬가지 맥락으로, 자살 또한 인간의 선택에 의한 문제가 아니다.
상대 측에 대한
질문1. 자살->생명경시풍조가 나타날 수 있음->이는 곧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농후함.
2. 인간이 생명에 대한 선택권이 있다고 생각하나?->(상대팀)있다.->
3. 안락사->아무리 감정을 배제하고 이성으로만 판단해서 시행한다 하여도 결국 인간의 감정이 들어가게됨->
즉 안락사를 어떤의미에서 실행하든 살인(killing)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함.
상대 측의 예상질문에 대한 예상답변
1. 환자의 고통으로 인해서 환자뿐만이 아니라 타인의 정신적, 경제적, 신체적 고통등이 같이 증가함
우리조의 반론 : 이러한 부분은 안락사의 문제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다. 이러한 스트레스 힘듬은 사회 제도적인 측면에서 접근을 해야한다. ex) 사회복지의 증대, 경제적인 지원->안락사로 해결할 문제x
2. 인간은 합리적이며 이성적존재이다. 따라서 자살, 안락사 같은것또한 인간의 합리적이며 이성적인 판단에 의해서 선택가능?
우리조의 반론 : 물론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존재라는 것자체는 동의하지만, 서두의 입장표명을 따를 때 인간의 생명에 관한 부분은 인간의 선택, 즉 판단에 의해서 결정할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3. 의사조력자살은 인간의 존엄, 즉 품위를 지켜주면서 죽음에 다를수 있도록 도와주는것인데 오히려 이것이 인간의 존엄성을 지켜주는 것 아닌가?
우리조의 반론 : 겉으로 볼때는 물론 인간의 품위를 지켜주는 존엄사로 보이지만, 모든 환자들이 자신들의 결정과는 오히려 가족이나 지인들의 여러 가지 힘듬을 보고 눈치를 보면서 등떠밀리듯이 죽음을 택해버리게 되는 이른바 변질될 우려도 있다.
'My Life > in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임금제과 최저임금제 대해서 토론! (0) | 2015.01.31 |
---|---|
이노레드 대표인 박현우 사장 강의 후기 (0) | 2015.01.30 |
자살에 대한 토론(찬성의 반론 및 답변에 대해서!) (0) | 2015.01.28 |
인간과 우주의 기원에 대한 나의 고찰 (0) | 2015.01.27 |
영화 거인 중 오디션 연구 (1) | 2015.01.26 |
댓글